본문 바로가기
쉬운 경제

부모 자녀 간 송금, 증여세 신고 안 하면 생기는 일

by 투자나침반입니다 2025. 4. 23.
728x90
반응형

 

부모 자녀 간 송금, 증여세 신고 안 하면 생기는 일

 

 

 

안녕하세요 투자나침반입니다.

 


가족끼리 금전적인 도움을 주고받는 일, 누구나 한 번쯤은 경험해보셨을 거예요.


하지만 이체 금액이 커질수록 세금 문제가 복잡해질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해요.


오늘은 가족 간 계좌이체가 증여로 간주되는 기준과 연말정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볼게요.

 

 

1. 가족 간 계좌이체, 무조건 증여인가요?

가족 간 계좌이체가 곧바로 증여로 인정되는 건 아니에요.
하지만 금액이 크거나 반복적으로 이체가 이뤄진다면 국세청은 이를 증여로 의심할 수 있어요.
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에게 매달 500만 원씩 보내준다면, 생활비나 학자금이 아니라 ‘재산 이전’으로 판단될 수 있어요.

 

 

 

2. 증여세 면제 한도는 얼마인가요?

가족 관계에 따라 증여세 면제 한도가 달라요.

  • 부모 → 자녀: 10년간 5,000만 원
  • 자녀 → 부모: 10년간 1,000만 원
  • 배우자 간: 10년간 6억 원

 

 

이 한도를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는 증여세를 신고하고 납부해야 해요.
신고하지 않고 넘어갈 경우, 가산세까지 물 수 있어요.

 

 

3. 연말정산과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?

연말정산 자료에 가족 간 계좌이체 내역이 직접 반영되지는 않아요.


하지만 금융기관은 일정 금액 이상의 거래 내역을 국세청에 보고하고,
국세청은 이를 바탕으로 세무조사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요.

 

 

특히 현금 증여 후 부동산 구매나 예금증가 등 자산이 급격히 늘어난 경우,
출처 조사 대상이 될 수 있어요. 이럴 경우 이체 내역, 계약서, 증빙자료가 중요해요.

 

 

4. 안전한 증여 방법은?

  • 증여 계약서를 작성해두세요.
  • 계좌이체 시 ‘증여’라고 명확히 기재하세요.
  • 향후 소명할 수 있도록 이체 내역과 문자 기록을 보관해두는 게 좋아요.

 

 

 

가끔은 "우리 가족인데 뭐 어때~"라는 생각으로 넘어가지만, 세무서 입장에서는 '정확한 증빙'이 가장 중요해요.
간혹 "연말정산에 반영되는 줄 몰랐어요.."라고 당황하는 경우도 많은데, 미리 대비하면 걱정 없어요.

 

 

 

가족 간 사랑은 돈으로도 표현될 수 있지만, 그만큼 세금 문제도 꼼꼼히 챙겨야 해요.
앞으로도 알쏭달쏭한 세금 이슈, 투자나침반이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:)

 

 

 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

댓글